대역폭, bandwidth, B/W

1K는 1,024지만 1,000으로 환산

  •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로

  • 동시 접속자 수와 같은 의미

  • 기본 단위는 bps(bit per second) - 데이터 전송 속도

    • 1초에 최대로 보낼 수 있는 bit

  • 8 bps의 의미

    • 1 byte = 8 bit

    • 즉, 1 초에 1 byte 처리가 가능하다. 1 Byte/s

  • 1 Mbps의 의미

    • bps로 환산: 1 Mbps = 1,000 Kbps = 1,000,000 bps

    • Byte로 환산: 1,000,000 bps / 8 = 125,000 Byte/s

    • MB로 환산: 125,000 Byte/s = 125 KB/s = 0.125 MB/s

    • 즉, 1 Mbps / 8 bit = 0.125 MB/s

    • 최대 일간 0.125 MB * 86,400 s = 10,800 MB = 10.8 GB(10,800 / 1000) 전송 가능

    • 시간당 0.125 MB * 3,600 s = 450 MB 전송 가능

bps Byte per second 시간당 최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일일 최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64 Kbps

64 Kbps / 8 bit = 8 KB/s

8 KB * 3,600 s

  • 28,800 KB/h

  • 28.8 MB/h

8 KB * 86,400 s

  • 691,200 KB/d

  • 691.2 MB/d

256 Kbps

256 Kbps / 8 bit = 32 KB/s

32 KB * 3,600 s

  • 115,200 KB/h

  • 115.2 MB/h

32 KB * 86,400 s

  • 2,764,800 KB/d

  • 2,764.8 MB/d

  • 2.7648 GB/d

512 Kbps

512 Kbps / 8 bit = 64 KB/s

64 KB * 3,600 s

  • 230,400 KB/h

  • 230.4 MB/h

64 KB * 86,400 s

  • 5,529,600 KB/d

  • 5,529.6 MB/d

  • 5.5296 GB/d

10 Mbps

10 Mbps / 8 bit = 1.25 MB/s

1.25 MB * 3,600 s

  • 28,800 KB/h

  • 28.8 MB/h

1.25 MB * 86,400 s

  • 108,000 MB/d

  • 108 GB/d

트래픽

트래픽 사용량은 월간트래픽을 기준으로 하며 트래픽 사용량을 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사이트의 측정 방법인 것 같음

  1. 일일트래픽

    • 5분 단위 평균 트래픽(bit/초)을 체크하여 1일 중 체크된 피크(Peak) 값을 일일트래픽이라 합니다.

  2. 월간트래픽

    • 한 달간 집계된 일일트래픽 중 상위 3번째까지 제외한 4번째 값을 실제 사용한 트래픽으로 합니다.

  3. 월간누적사용량

    • 5분 단위 평균 트래픽을 한달 간 누적 전송 데이터(Byte)로 환산한 값을 말합니다.

전용선

leased line, dedicated line

AS(Autonomous System)

공통 라우팅 전략을 공유하는 공통적인 시스템 관리 방식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집합체. Autonomous System은 하위 영역으로 세분된다. Autonomous System은 IANA에서 할당한 고유한 16비트를 부여 받는다. 때때로 AS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BGP(Border Gateway Protocol)

  • EGP를 대치하는 도메인 간 라우팅 프로토콜. BGP는 다른 BGP 시스템과 전달 능력 정보를 교환한다. 이것은 RFC 1163에 정의돼 있다.

  • AS와 AS 경계 사이에서 라우팅 업데이트 용도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DSR(Direct Server Return)

L4를 사용한 SLB의 구성 시, 리얼 서버는 VIP의 인터페이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며 각각의 리얼 서버는 L4를 거치지 않고 직접 사용자에게 응답 패킷을 전달

DSR(Dynamic Source Routing Protocal)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AS간 라우팅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RFC 904에 정리돼 있다.

IDC(Internet Data Center)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최대 전송 단위

NAT

Network Access Translation: 사설 IP, 공인 IP 변환

PCI DSS(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PCI DSS망(network)은 신용카드업계 데이터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네트워크 망을 말한다.

RR(Round Robin)

요청을 순차적으로 Real Server에게 분배(순서를 시간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식)

VIP(Virtual IP)

SLB(Server Load Balancing)

SLB는 의미 그대로 Server의 부하를 조절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SLB는 LB(Load Balancer)와 VIP(Virtual IP)로 구성된다. LB는 Server에 전달되야 하는 Client의 요청을 대신 받아 적절한 Server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VIP(Virtual IP)는 Load Balancing의 대상이 되는 여러 Server들을 대표하는 하나의 가상 IP이다. Client는 각 Server의 IP가 아닌 LB가 갖고 있는 VIP(Virtual IP)를 대상으로 요청한다. 따라서 Client는 여러 Server들의 존재를 알지 못하고 하나의 Server와 통신한다고 생각한다.

L4 Switch

  • 'Load Balancer’로서 주로 SLB(Server Load Balancing) / FLB(Firewall Load Banlancing)을 수행

  • Load Balancing 흐름

    1. 사용자는 L4의 VIP 주소로 요청

    2. L4는 사용자의 요청을 최적의 Real Server에게 전달

    3. Real Server는 L4에게 응답 전달

    4. L4는 다시 사용자에게 응답 전송

  • 보통 Fail Over 방지를 위해 Active/StandBy 형태로 L4 장비 2대를 운용

통신 관련 명령어

traceroute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라우터를 모두 추적

$ traceroute -T -p 8080 10.100.100.100

telnet

목적지 서버의 해당 어플리케이션까지 살아 있는지 확인

$ telnet 10.100.100.100 8080

ping

목적지 서버를 통하는 네트워크 상태 확인

$ ping 10.100.100.100

nping

$ nping --tcp -p 8080 10.100.100.100 -c 0
  • -c 0, --count 0: 기본으로 5번만 요청하므로 계속 시도하려면 이 옵션을 추가한다.